From 90d518104a286be7b5d4722ad197d650cf9cf42e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Sungmann Cho Date: Wed, 27 Mar 2024 20:15:31 +0900 Subject: [PATCH] Fix spelling errors in Chapter 4-6 (#58) MIME-Version: 1.0 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 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 * 만들려고 있습니다 -> 만들고 있습니다. * `..user1`를 -> `..user1`을 * 예제 5-11는 -> 예제 5-11은 * `IpAddrKind`이라는 -> `IpAddrKind`라는 * `IpAddrKind`은 -> `IpAddrKind`는 * 127.0.0.1`를 -> 127.0.0.1`을 * `::1`를 -> `::1`을 * 인스턴스를 결과를 만드는 함수 -> 인스턴스 결과를 만드는 함수 --- src/ch04-02-references-and-borrowing.md | 2 +- src/ch05-01-defining-structs.md | 4 ++-- src/ch05-02-example-structs.md | 2 +- src/ch06-01-defining-an-enum.md | 10 +++++----- 4 files changed, 9 insertions(+), 9 deletions(-) diff --git a/src/ch04-02-references-and-borrowing.md b/src/ch04-02-references-and-borrowing.md index 0ad7516229..a39f7838f6 100644 --- a/src/ch04-02-references-and-borrowing.md +++ b/src/ch04-02-references-and-borrowing.md @@ -120,7 +120,7 @@ 유효하지 않다고 말해줍니다. 첫 번째 가변 대여는 `r1`에 있고, `println!`에서 사용될 때까지 남아있어야 하지만, 이 가변 참조자의 생성과 사용 사이에서 `r1`과 같은 데이터를 빌리는 `r2`의 가변 참조자를 -만들려고 있습니다. +만들고 있습니다. 같은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에 여러 가변 참조자의 사용을 막는 이러한 제약은 값의 변경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도록 해 줍니다. 대부분의 언어들이 diff --git a/src/ch05-01-defining-structs.md b/src/ch05-01-defining-structs.md index 5e3ea8e24b..95d6751f37 100644 --- a/src/ch05-01-defining-structs.md +++ b/src/ch05-01-defining-structs.md @@ -140,7 +140,7 @@ 예제 5-7의 코드 또한 `email` 값이 다른 `user2`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만 `username`, `active`, `sign_in_count`는 `user1`의 필드와 같은 값을 갖게 합니다. `user1`의 값들과 동일한 값들로 -나머지를 채우려면 `..user1`를 제일 끝에 적어야 하지만, +나머지를 채우려면 `..user1`을 제일 끝에 적어야 하지만, 다른 필드들은 구조체의 정의 내에 있는 필드들의 순서와는 상관없이 우리 마음대로 몇 개든 임의 순서로 적을 수 있습니다. @@ -148,7 +148,7 @@ 구조체 업데이트 문법이 대입처럼 `=`을 이용한다는 점을 주목하세요; [‘변수와 데이터 간 상호작용 방식: 이동’][move]절에서 본 것처럼, 이 구문은 데이터를 이동시킵니다. 이 예제에서 `user2`를 생성한 -이후에는 `user1`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데, 이는 `user1`의 `username` +이후에는 `user1`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데, 이는 `user1`의 `username` 필드의 `String`이 `user2`로 이동되기 때문입니다. `user2`에 `email`과 `username`의 `String` 모두를 제공하고 `user1`에서는 `active`와 `sign_in_count` 값만 사용한다면, `user2`를 만든 이후에도 `user1`는 diff --git a/src/ch05-02-example-structs.md b/src/ch05-02-example-structs.md index 4ffa0d79bf..9481ca0b5c 100644 --- a/src/ch05-02-example-structs.md +++ b/src/ch05-02-example-structs.md @@ -104,7 +104,7 @@ ## 트레이트 파생으로 유용한 기능 추가하기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동안 `Rectangle` 인스턴스 내 모든 필드 값을 -출력해서 확인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군요. 예제 5-11는 앞서 다뤄본 +출력해서 확인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군요. 예제 5-11은 앞서 다뤄본 [`println!` 매크로][println]를 사용해 본 예시이나, 작동하진 않습니다. diff --git a/src/ch06-01-defining-an-enum.md b/src/ch06-01-defining-an-enum.md index 9229a6f137..3b4502da60 100644 --- a/src/ch06-01-defining-an-enum.md +++ b/src/ch06-01-defining-an-enum.md @@ -20,7 +20,7 @@ v4, v6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, 이 둘은 코드에서 모든 종류의 IP 주소에 적용되는 상황을 다룰 때 동일한 타입으로 처리되는 것이 좋습니다. -`IpAddrKind`이라는 열거형을 정의하면서 포함할 수 있는 IP 주소인 `V4`와 `V6`를 +`IpAddrKind`라는 열거형을 정의하면서 포함할 수 있는 IP 주소인 `V4`와 `V6`를 나열함으로써 이 개념을 코드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것들을 열거형의 *배리언트*라고 합니다: @@ -28,7 +28,7 @@ v4, v6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, 이 둘은 코드에서 {{#rustdoc_include ../listings/ch06-enums-and-pattern-matching/no-listing-01-defining-enums/src/main.rs:def}} ``` -이제 `IpAddrKind`은 코드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커스텀 데이터 타입이 되었습니다. +이제 `IpAddrKind`는 코드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커스텀 데이터 타입이 되었습니다. ### 열거형 값 @@ -70,8 +70,8 @@ v4, v6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, 이 둘은 코드에서 `String` 타입인 `address` 필드를 갖는 `IpAddr`를 정의했습니다. 그리고 이 구조체의 인스턴스 두 개를 생성했습니다. 첫 번째 `home`은 `kind`의 값으로 `IpAddrKind::V4`를, 연관된 주소 데이터로 -`127.0.0.1`를 갖습니다. 두 번째 `loopback`은 `IpAddrKind`의 다른 배리언트인 -`V6`를 값으로 갖고, 연관된 주소로 `::1`를 갖습니다. `kind`와 `address`의 +`127.0.0.1`을 갖습니다. 두 번째 `loopback`은 `IpAddrKind`의 다른 배리언트인 +`V6`를 값으로 갖고, 연관된 주소로 `::1`을 갖습니다. `kind`와 `address`의 값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조체를 사용했습니다. 그렇게 함으로써 배리언트가 연관된 값을 갖게 되었습니다. @@ -88,7 +88,7 @@ v4, v6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, 이 둘은 코드에서 없어졌습니다. 또한 여기서 열거형의 동작에 대한 다른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가 좀 더 쉬워졌습니다: 각 열거형 배리언트의 이름이 해당 열거형 인스턴스의 생성자 함수처럼 된다는 것이죠. 즉, `IpAddr::V4()`는 `String` 인수를 -입력받아서 `IpAddr` 타입의 인스턴스를 결과를 만드는 함수입니다. +입력받아서 `IpAddr` 타입의 인스턴스 결과를 만드는 함수입니다. 열거형을 정의한 결과로써 이러한 생성자 함수가 자동적으로 정의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