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CB Spider AdminWeb Guide

ByoungSeob Kim edited this page Mar 5, 2025 · 1 revision

CB-Spider AdminWeb Guide

개발 주안점 및 특징

1. CSP별 입력 정보 샘플 제공

Before: Spider 처음 활용 시 API별 입력 정보 설정이 어려움
After: 자원별/CSP별 샘플 정보 자동 제공으로 사용자/개발자 고민 해결

2. CB-Spider 활용 및 CB-Spider 개발 시 자원의 상태 확인 및 관리 활용

Before: curl 등을 활용한 로그 출력 속에서 눈을 통한 scroll & correctness 확인
After: GUI 기반 편리한 핀셋 정보 제공 및 자원 관리 가능

3. 망가진 자원 맵핑 관리 기능 제공

Before: Spider와 각 CSP 간의 맵핑 정보 오류 시, Spider 메타정보 초기화 및 CSP 웹 콘솔을 활용한 복잡한 삭제 및 관리 필요
After: 별도의 CSP 콘솔이나 전용 도구 활용 없이 맵핑 정보 관리 가능

자원 맵핑 관리 가이드 참고: Dangling Resource Management Guide


AdminWeb 접속 주소 및 웹 화면 개요

  • AdminWeb 주소 : http://${SPIDER_IP}:1024/spider/adminweb

abminweb_1


Dashboard

  • 모든 연결 설정 정보(connection)에 대해 리소스, VM, Cluster 등에 대한 정보 확인 / 추가 / 삭제 가능 dashboard

자원 생성 흐름 및 의존 관계

  1. 클라우드 연결 설정 정보 관리 : Driver 생성 → Credential 등록 → Region / Zone 등록 → Connection 생성
  2. Connection 선택
  3. VPC / Subnet 생성
  4. Security Group 생성
  5. VM KeyPair 생성
  6. VM 생성
  7. Disk / NLB / Cluster 생성

1. 클라우드 연결 설정 정보 관리

adminweb_credential_intro

1-1 Driver 등록: 연동 대상 클라우드 드라이버 정보 관리

  • Driver Name : 등록하는 드라이버 정보를 대표하는 이름
  • Provider Name : 연동 대상 클라우드 이름
  • Driver Library: 대상 CloudOS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 이름
    •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: 클라우드 공통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공유 라이브러리
    •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 공유 라이브러리 위치: $CBSPIDER_ROOT/cloud-driver-libs/
    • 참고: 클라우드 공통 인터페이스

1-2 Credential 등록 : 연동 대상 클라우드 Credential 정보 관리:

  • Drag & Drop을 통한 등록 지원
  • Provider Name: 연동 대상 클라우드 이름
  • Credential Name: 등록하는 Credential 정보를 대표하는 이름
  • Credential Info: 연동 대상 클라우드별 적합한 Credential 정보
    • 연동 대상 클라우드 선택 시 Credential 정보 규격 제공

1-3 Region 등록: 연동 대상 클라우드의 Region/Zone 정보 관리

  • Region/Zone Import 기능 지원(driver, credential 필요)
  • Provider Name: 연동 대상 클라우드 이름
  • Region Info: 연동 대상 클라우드별 적합한 Region 정보 제공
  • Region Name: 등록하는 Region/Zone 정보를 대표하는 이름
Import Manual

1-4. CONNECTION 생성 :클라우드 연결 설정 정보 관리

연동 대상 클라우드에 대해 사전에 등록한 Driver, Credential 및 Region 정보를 조합하여 Connection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ek.


2. Connection 선택

  • 이하의 모든 클라우드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1에서 생성한 Connection을 선택해야 한다.
  • Connection 선택 시, 좌측 상단에 Region/Zone이 표시된다.

  • 또한 우측 상단의 메뉴를 통해 대상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Region/Zone, Price, VM Image, VM Spec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

3. VPC / Subnet

  • VPC / Subnet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
  • VPC 생성 시 반드시 하나의 Subnet을 생성하여야 하고, 이후 Add 버튼을 이용하여 Subnet을 추가할 수 있다. Del 버튼을 통해 Subnet 삭제도 가능하다.


4. Security Group

  • 생성한 VPC에 대하여 Security Group을 설정할 수 있다.
  • 생성 시 하나의 Rule을 추가할 수 있고, 생성 후 Rule을 추가할 수 있다.
  • Rule은 Inbound / Outbound를 각각 설정 할 수 있다.


5. KeyPair

  • VM SSH 접속에 필요한 KeyPair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.
  • Keypair Name 입력 후 생성 시 해당 KeyPair 다운로드 여부를 묻게된다.

6. VM

  • 2~5에서 생성한 VPC, Subnet, Security Group, KeyPair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할 수 있다.
  • 원하는 VM Image, VM Spec의 Name을 골라 작성해주어야 한다.
  • 한 번에 여러 개의 VM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.


※ 그외 자원 관리 가이드

Table of contents



Clone this wiki locall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