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Commit

Permalink
blog: 6th curation (#59)
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
* chore: add an author songkg7

* blog: 6th curation

* Apply suggestions from code review

Co-authored-by: Jihun Lim <[email protected]>

---------

Co-authored-by: Jihun Lim <[email protected]>
  • Loading branch information
songkg7 and heuristicwave authored Jan 27, 2025
1 parent 9752817 commit c9f9a3c
Show file tree
Hide file tree
Showing 3 changed files with 92 additions and 1 deletion.
12 changes: 12 additions & 0 deletions authors.yml
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
Expand Up @@ -223,3 +223,15 @@
socials:
linkedin: https://www.linkedin.com/in/heeseon-cheon/
blog: https://heehehe-ds.tistory.com/

송경근:
name: 송경근
title: 글또 운영진 / Software Engineer @ 42dot
url: https://github.com/songkg7
image_url: https://github.com/songkg7.png
page: true
socials:
linkedin: https://www.linkedin.com/in/songkg7/
github: songkg7
blog: https://haril.dev

10 changes: 10 additions & 0 deletions content/curation/10th/6th.mdx
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
@@ -0,0 +1,10 @@
---
title: 큐레이션 10기 6회차
description: 10기 6회차에 글또에서 선정된 글을 소개합니다.
tags: [curation, 10th]
authors: [송경근]
createdAt: 2025-01-25
---

<Curation 회차={6} />

71 changes: 70 additions & 1 deletion curation.yml
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
Expand Up @@ -279,7 +279,7 @@
설명: 🚀 스타트업의 QA 프로세스 개선, 모든 팀원이 품질 보증의 주체가 되어 효율성과 협업을 높이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!

5th:
Data:
Data:
- 제목: 2024년 회고. 일과 글과 책과 습習.
주소: https://brunch.co.kr/@hnote/157
작가: 이소희a
Expand Down Expand Up @@ -340,6 +340,75 @@
설명: 🕵️ Amazon MSK 커넥션 끊김 이슈를 Nest.js와 IRSA 환경에서 발생한 실제 디버깅 과정과 해결 방법을 상세히 공유하는 기술적으로 깊이 있는 문제 해결 가이드입니다.

6th:
Fullstack:
- 제목: "2025년으로 넘어가는 문턱에서, 일터의 소로."
주소: https://springfall.cc/article/2025-01/thoreau
작가: 김태훈
설명: 🌱 2024년의 회고와 2025년의 목표를 담은 글로, 자본주의와 기술 발전 속에서 진정한 삶의 가치를 찾아가는 여정을 '일터의 소로'라는 책을 통해 깊이 있게 성찰한 이야기입니다.
- 제목: 안전하게 무한 루프 탈출하기 - Handling SIGTERM in kubernetes with python
주소: https://littlemobs.com/blog/safe-loop-termination/
작가: 김인호
설명: 🚦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Python 프로세스의 안전한 무한 루프 종료 방법을 배우고, SIGTERM/SIGINT 핸들링을 통해 리소스 정리와 우아한 종료를 구현하는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.
- 제목: "이력또: 커뮤니티에서 이력서 피드백 주고 받기"
주소: https://medium.com/@sudosubin/이력또-커뮤니티에서-이력서-피드백-주고-받기-97e14233bc39
작가: 김수빈
설명: 💼 개발자들의 이력서 피드백을 위한 '이력또' 소모임이 만들어진 배경과 Slack Workflow를 활용한 운영 방식, 41건의 리뷰 경험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소개하는 글입니다.

Data:
- 제목: "[Goodbye 2024년 Hello 2025년] 연말 회고 공유"
주소: https://velog.io/@h-go-getter/Goodbye-2024%EB%85%84-Hello-2025%EB%85%84
작가: 장회정
설명: 📝 2024년 회고를 통해 시간관리와 목표달성 전략을 배울 수 있는 글로, 우선순위에 따른 시간 투자와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성과를 이룬 경험담이 상세히 담겨있어 2025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만한 글입니다.
- 제목: 가상의 게임 데이터로 살펴보는 이중차분법 (feat. 🧙 법사야캐요)
주소: https://blessedby-clt.tistory.com/83
작가: 조슬지
설명: 🧙 통계의 마법 같은 이중차분법을 게임 데이터로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마법 같은 튜토리얼로, 복잡한 통계 개념을 게임 예시를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흥미로운 학습 자료입니다!

Backend:
- 제목: 진화 LEVEL UP 신입개발자로 취업한 2024의 한 해를 돌아보자 (++ 균형과 도약의 2025)
주소: https://velog.io/@prettylee620/%EC%A7%84%ED%99%94-LEVEL-UP-%EC%8B%A0%EC%9E%85%EA%B0%9C%EB%B0%9C%EC%9E%90%EB%A1%9C-%EC%B7%A8%EC%97%85%ED%95%9C-2024%EC%9D%98-%ED%95%9C-%ED%95%B4%EB%A5%BC-%EB%8F%8C%EC%95%84%EB%B3%B4%EC%9E%90-%EA%B7%A0%ED%98%95%EA%B3%BC-%EB%8F%84%EC%95%BD%EC%9D%98-2025
작가: 이금주
설명: 🌟 2024년 한 해를 돌아보는 진화와 성장의 여정, 커피챗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길을 개척한 신입 개발자의 감동적이고 투명한 회고록으로 개인 성장과 도전의 모든 순간을 생생하게 담아냈습니다!
- 제목: Go에서 문자열 빠르게 이어붙이는 방법
주소: https://www.winterjung.dev/string-concat-performance-benchmark-in-go/
작가: 정겨울
설명: 💡 Go에서 문자열 연결 시 strings.Builder와 strings.Join이 가장 효율적이며, 고정 인자일 때는 + 연산자도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벤치마크 분석 글입니다.
- 제목: 잃어버린 커밋을 찾아서 (git reflog, git fsck)
주소: https://devpanpan.tistory.com/115
작가: 하이현
설명: 🕵️ Git의 숨겨진 기능을 활용해 잃어버린 커밋을 복구하는 놀라운 방법들을 소개합니다! 개발자들이 실수로 삭제한 커밋을 되살리는 세 가지 핵심 기술(커밋 해시, git reflog, git fsck)을 알려드립니다.
- 제목: "[Kotlin] 돌려줘요 static. Kotlin 에는 Java 의 static 키워드가 없다. 대신…"
주소: https://jaeyeong951.medium.com/kotlin-%EB%8F%8C%EB%A0%A4%EC%A4%98%EC%9A%94-static-866f31091466
작가: 김재영
설명: 🤔 Kotlin의 companion object를 사용하게 된 배경과 설계 철학을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는 글로, "everything is object" 관점에서 static 대신 object 키워드를 채택한 이유를 상세히 설명합니다.
- 제목: Token Gradient Descent를 이용한 LLM 글자수 조절
주소: https://velog.io/@jghff700/Token-Gradient-Descent를-이용한-LLM-글자수-조절
작가: 장영환
설명: 🚀 Token Gradient Descent를 활용해 LLM의 글자수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혁신적인 방법으로, 멀티스레딩과 지수 백오프 전략을 결합하여 데이터셋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적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.

Frontend:
- 제목: normalize 메서드를 이용해 유니코드 문자열 정규화하기
주소: https://wormwlrm.github.io/2024/12/30/String-Normalize.html
작가: 정종윤
설명: 🔠 JavaScript에서 유니코드 문자열을 정규화하는 normalize 메서드의 4가지 방식(NFD, NFC, NFKD, NFKC)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 유익한 글로, 국제화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문자열 처리에 도움이 됩니다.
- 제목: Next.js 캐싱 때문에 Axios 인터셉터를 포기하라고? Axios adapter 설정으로 Next.js caching 지원 받기
주소: https://velog.io/@bbbjihan/Next.js-캐싱-때문에-Axios-인터셉터를-포기하라고-Axios-adapter-설정으로-Next.js-caching-지원-받기
작가: 박지한
설명: 🔧 Next.js의 캐싱 기능을 포기하지 않고도 Axios의 편리한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로, Axios adapter 설정을 통해 Next.js의 캐싱 지원을 받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.
- 제목: Figma 플러그인 개발기 🛠️- Select Frame To WebP
주소: https://velog.io/@sumi-0011/figma-plugin-webp
작가: 변수미
설명: 🛠️ Figma에서 WebP 변환이 불편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플러그인을 개발한 과정을 상세히 다룬 글로, 플러그인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에게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.
- 제목: 이상적인 아키텍처의 특징 - 클린 아키텍처를 통해 바라본
주소: https://velog.io/@bo-like-chicken/이상적인-아키텍처의-특징-클린-아키텍처를-통해-바라본
작가: 백보성
설명: 🏗️ 클린 아키텍처의 핵심 원칙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아키텍처 설계 방법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,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최적의 아키텍처를 찾아가는 여정을 소개합니다.

iOS:
- 제목: 12월 23일을 끝으로 운영을 종료합니다(블로그아님)
주소: https://velog.io/@kimscastle/12%EC%9B%94-23%EC%9D%BC%EC%9D%84-%EB%81%9D%EC%9C%BC%EB%A1%9C-%EC%9A%B4%EC%98%81%EC%9D%84-%EC%A2%85%EB%A3%8C%ED%95%A9%EB%8B%88%EB%8B%A4
작가: 김의성
설명: "💭 젠티 프로젝트 1년간의 회고록: 단 한 명의 유저를 위한 업데이트부터 팀의 가치와 설득의 중요성까지, 스타트업 경험을 통해 배운 진정한 개발자의 자세와 성장 스토리를 담은 글입니다."
7th:
8th:
9th:
Expand Down

0 comments on commit c9f9a3c

Please sign in to comment.